[블랙잭 기초전략 4] 그래프로 확인한 기초전략

관리자 0 2781 0 0

 

a38dcc8669b2458e519a65b111bdced5_1494231660_25.jpg

 

 

그래프로 확인한 기초전략

 

다음의 그래프는 플레이어가 갖고 있는 어떤 카드의 조합에서 각 딜러의 카드에 대해서 힛(Hit)하면 어느정도 유리하고, 혹은 어느정도 불리한지를 퍼센트(%) 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를 보면서 참고할 사항은 해당하는 경우에 기초 전략에서 힛(Hit)/스테이/더블다운/스플릿 하라고 했는데, 막상 실제 게임에서는 기초 전략대로 할까 말까 망설여지기도 하는데, 이 그래프를 유심히 공부하면 하라/하지말라 라고 되어 있는 간단한 말보다는 얼마나 유리하며 얼마나 불리한지 그래프를 통해서 그 정도의 차이를 느낄수 있을 것이다.

 

어느 정도 유리한지를 알고, 또 어느 정도 불리한지를 알고, 상황에 따라 판단을 바꿀 수도 있어야 한다. 대부분이 유리하니까 무조건 하라/ 불리하니까 무조건 하지말라고 가르치는데, 그래프를 통하여 어느정도 유리하고 불리한지 스스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01. 플레이어가 17을 가지고 힛(Hit)하는 경우>

 

 

27761aae37b52a3a40760fd822fda4c3_1491393737_9573.png
 

 

 

 (1) 만약 딜러의 카드가 8일 때 힛(Hit) 했다면 10% 만큼 손해를 보고, 딜러의 카드가 5일 때 힛(Hit)을 했다면 46% 정도의 손해를 본다는 말이다. 이 그래프를 통해서 보면 딜러의 어떤 카드에 대해서도 힛(Hit)을 하면 손해를 본다.

 

(2) 기초 전략은 딜러의 모든 카드에 대해서 힛(Hit)하지 말고 스테이(Stay) 해야한다.

 

<02.플레이어가 16을 가지고 힛(Hit)하는 경우>

 

 

27761aae37b52a3a40760fd822fda4c3_1491393749_1135.png
 

 

 

  (1) 그래프를 보면 딜러의 카드 2,3,4,5,6 은 그래프가 아래로 되어 있고 A,7,8,9,10 은 그래프가 위로 올라가 있다. 즉 위로 올라가 있으면 힛(Hit)하고, 아래로 내려가 있으면 스테이 한다.

 

(2) (Hit)하여 유리한 경우라도 딜러의 카드가 A 일 경우는 14% 정도로 좋다. 반드시 힛(Hit)하여 딜러와 싸워야 한다. 그러나 딜러의 카드가 10일 경우에는힛(Hit)하여 유리한 정도가 1% 밖에 되지 않는다. 즉 힛(Hit) 해봐야 별로 도움이 안된다. 그런데 딜러의 카드가 2,3,4,5,6 일때에는 힛(Hit) 하면 손해가 20%이상이므로 절대 힛(Hit) 하면 안된다는 이야기이다.

 

(3) 기초 전략에서는 딜러의 카드가 7 이상에서는 힛(Hit) 이고 딜러의 카드가 6 이하에서는 스테이이다. 딜러의 카드가 9,10,A 일 경우에는 서렌더를 해도 좋다

 

<03.플레이어가 15를 가지고 힛(Hit)하는 경우>

 

 

27761aae37b52a3a40760fd822fda4c3_1491393761_2366.png
 

 

 

  (1) 기초 전략에서는 딜러의 카드가 7 이상에서는 힛(Hit) 이고 딜러의 카드가 6 이하에서는 스테이 (Stay) 이다. 딜러의 카드가 10 일 경우에는 서렌더를 해도 좋다

 

<04.플레이어가 14를 가지고 힛(Hit)하는 경우>

 

 

27761aae37b52a3a40760fd822fda4c3_1491393772_8511.png
 

 

 

  (1) 그래프와 같이 기초 전략에서는 딜러의 카드가 7이상에서는 힛(Hit)이고 딜러의 카드가 6이하에서는 스테이이다.

 

 

<05.플레이어가 13을 가지고 힛(Hit)하는 경우>

 

 

27761aae37b52a3a40760fd822fda4c3_1491393784_936.png
 

 

 

(1) 기초 전략에는 딜러의 카드가 7 이상은 힛(Hit) 이고, 6 이하는 스테이이다.

 

(2) 이 그래프에서 알아야 할 사항이 있다. 딜러의 카드가 7,8,9,10,A 일때에는 힛(Hit)을 하면 이익이 20% 정도까지 높으므로, 즉 힛(Hit) 하면 큰 이득을 볼수 있으므로 반드시 힛(Hit)을 해야한다. 반대로 딜러의 카드가 2,3,4,5,6 일때에는 힛(Hit)을 해도 손해가 10%미만으로 작으므로 상황에 따라 (특히 딜러의 2,3 카드 일 경우) 스테이 하지 않고 힛(Hit)할수도 있다.

 

<06.플레이어가 12를 가지고 힛(Hit)하는 경우>

 

 

27761aae37b52a3a40760fd822fda4c3_1491393794_515.png
 

 

 

(1) 기초 전략에서는 딜러의 2,3 카드에 대해서는 힛(Hit)하고 딜러의 4,5,6 카드에 대해서는 스테이하고 딜러의 7,8,9,10,A 카드에 대해서는 힛(Hit) 하라고 되어 있다.

 

(2)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그래프가 밑으로 되어 있는 것은 4,5,6 일때이다. 딜러의 카드가 4,5,6 일 경우에는 힛(Hit)하면 불리하다고 하지만 그 강도는 아주 약하다. 딜러의 카드가 2,3 일 경우에도 힛(Hit)하면 유리하다고 하지만 그 강도는 아주 약하다. 그러나 딜러의 카드가 7 이상이면 반드시 힛(Hit) 해야 한다.

 

<07.플레이어가 11을 가지고 더블다운을 하는 경우> 

 

 

27761aae37b52a3a40760fd822fda4c3_1491393803_8762.png
 

 

 

  (1) 기초전략에서 딜러의 A 를 제외한 모든 카드에서 더블다운하라고 되어 있다.

 

(2) 이 그래프를 통해서 보면 딜러의 카드가 A (에이스) 일때에는 더블다운 했을 때 유리한 정도가 0 이다. 그러나 A 를 제외한 모든 카드에서는 그래프가 위로 올라가 있다.다른 말로하면 딜러의 카드가 A(에이스) 일 때 더블다운하면, 유리하지도 않지만, 불리하지도 않다는 말이다. 그런데 기초 전략에서는 (겁을 먹고)더블다운 하지 말라라고 하고 있는 것이다.

 

<08.플레이어가 10을 가지고 더블다운을 하는 경우>

 

 

27761aae37b52a3a40760fd822fda4c3_1491393814_8434.png
 

 

 

  (1) 기초 전략에서 딜러의 10, A 를 제외한 모든 카드에서 더블다운하라고 되어 있다.

 

(2) 그래프에서 보면 딜러의 카드가 A(에이스) 10 일 때 확실하게 밑으로 내려와 있다. 더블다운 하면 안좋다는 이야기 이다.

 

(3) 딜러의 카드가 A(에이스) 일 때 더블다운 했다면 6% 정도 불리하다는 말이다.

 

<09.플레이어가 9를 가지고 더블다운을 하는 경우>

 

 

27761aae37b52a3a40760fd822fda4c3_1491393824_1433.png
 

 

 

  (1) 기초전략에서는 딜러의 3,4,5,6 카드에 대해서는 더블다운하고 그외 카드에 대해서는 힛(Hit) 하라고 되어 있다.

 

(2) 플레이어가 9에서 더블다운 하기에는 딜러의 2의 카드가 위험 하다는 것을 느낄수 있다.

 

(3) 기초전략에서는 딜러의 카드가 2일 때에는 더블다운 하지 말라고 하지만, 막상 더블다운 한다고 해도 불리하지는 않다는 말이다. 물론 유리한 점도 없지만,,,,이럴 때 그래프로 기초 전략을 배운 사람들은 운신의 폭이 넓어지는 것이다.

 

<10.플레이어가 8을 가지고 더블다운을 하는 경우>

 

 

27761aae37b52a3a40760fd822fda4c3_1491393832_2478.png
 

 

 

(1) 기초전략에서는 8 이하에서는 딜러의 어떤 카드에 대해서도 더블다운 하지 않는다.

 

(2) 그래프가 모두 밑으로 내려와 있다. 무조건 더블다운 하지 말라고 가르친다. 하지만 딜러의 카드가 6일 때에는 그 정도가 너무 낮으므로 유혹이 생긴다. 이런 유혹은 이 그래프로 기초 전략을 배운 사람 만이 생기는 유혹이다.

 

<11.플레이어가 (A + 2)를 가지고 더블다운을 하는 경우>

 

 

27761aae37b52a3a40760fd822fda4c3_1491393841_2304.png
 

 

 

  (1) 기초 전략에서는 딜러의 카드가 5,6 일 때에는 더블다운 하고 그 이외의 카드에 대해서는 그냥 힛(Hit) 하라고 되어 있다.

 

(2) 딜러의 카드가 5,6 이라고 무조건 더블다운 하는 것이 대단히 유리한 것이 아니다. 유리한 정도가 극히 적다. 상당히 조심해야 한다.

 

(3) 같은 원리로 딜러의 카드가 4일 때에는 불리한 정도가 너무 적어 더블다운 하고 싶은 유혹이 생긴다.

 

 

<12.플레이어가 (A+3)을 가지고 더블다운을 하는 경우>

 

 

27761aae37b52a3a40760fd822fda4c3_1491393850_9089.png
 

 

 

(1) 기초전략에서는 딜러의 5,6 카드에 대해서 더블다운하고 그외의 카드에 대해서는 그냥 힛(Hit) 하라고 되어 있다.

 

(2) 딜러의 카드가 4일 때 더블다운을 한다고해서 그렇게 나쁘지도 않다.

 

<13.플레이어가 (A+4)를 가지고 더블다운을 하는 경우>

 

 

27761aae37b52a3a40760fd822fda4c3_1491393858_8363.png
 

 

 

(1) 기초 전략에서는 딜러의 카드가 4, 5, 6 일 때에는 더블다운 하고 그 이외의 카드에 대해서는 그냥 힛(Hit) 하라고 되어 있다.

 

(2) 그래프를 보면 딜러의 카드가 4 일 때에는 더블다운 한다고 해도 유리한 정도가 너무 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황에 따라 더블다운 하지 않고 그냥 힛(Hit) 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이다. 그런데 이런 점을 설명하기에는 이 그래프로된 차트로 설명하는 것이 가장 좋다.

 

 

<14.플레이어가 (A+5)를 가지고 더블다운을 하는 경우>

 

 

27761aae37b52a3a40760fd822fda4c3_1491393867_2455.png
 

 

 

  (1) 기초 전략에서는 딜러의 카드가 4, 5, 6 일 때에는 더블다운 하고 그 이외의 카드에 대해서는 그냥 힛(Hit) 하라고 되어 있다.

 

(2) 그래프를 보면  딜러의 카드가 4 일 때에는 더블다운 한다고 해도 유리한 정도가 너무 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딜러의 카드가 3일 때에는 더블다운 한다

 이제 독자분들께서는 자신은 어떻게 하겠다는 자신만의 방법이 생길겁니다.

 

 

<15.플레이어가 (A+6)을 가지고 더블다운을 하는 경우>

 

36a57622a9d79a46c3df4eb527bd9b81_1493883463_5485.gif
 

 

(1) 기초전략에서는 딜러가 2를 가지고 있으면 더블다운 하지 않고, 그냥 힛(Hit) 해야 하고, 딜러가 3, 4, 5, 6 을 가지고 있으면 더블다운 하고 딜러가 7, 8, 9, 10, A 일때에는 힛(Hit)한다 

 

(2) 그래프에서 보면  딜러의 카드가 2일 때 더블다운 해도 그렇게 나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6.플레이어가 (A+7)을 가지고 더블다운을 하는 경우>

 

36a57622a9d79a46c3df4eb527bd9b81_1493883470_9984.gif
 

 

(1) 기초 전략에서는 딜러가 2 일때에는 그냥 스테이 한다. 딜러가 3, 4, 5, 6 을 가지고 있으면 더블다운 하고 딜러가 7, 8을 가지고 있으면 스테이하고 딜러가 9, 10, A 를 가지고 있으면 힛(Hit) 해야 한다.

 

(2) 그래프에서 보면 딜러의 카드가 2일 때 더블다운 해도 그렇게 나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7.플레이어가 (A+8)을 가지고 더블다운을 하는 경우>

 

36a57622a9d79a46c3df4eb527bd9b81_1493883478_6475.gif
 

 

(1) 기초 전략에서는 딜러의 어떤 카드에 대해서도 모두 스테이 하는 것이다.

 

(2) 그래프가 모두 밑으로 내려와 있다. 더블다운 하면 안된다.

 

 

<18.플레이어가 (9+9)을 가지고 스플릿을 하는 경우>

 

36a57622a9d79a46c3df4eb527bd9b81_1493883487_8502.gif
 

 

(1) 기초 전략에서는 딜러의 카드가 2,3,4,5,6, 에서는 스플릿 (Split)하고 딜러의 카드가 7 일때에는 스테이 (Stay)하고 딜러의 카드가 8, 9 일때에는 스플릿 (Split)하고 딜러의 카드가 10, A 일때에는 스테이(Stay)한다.

 

(2) 그래프에서 보면 딜러의 카드가 A, 7, 10 일 때 스플릿 하면 안 좋다고 그래프가 밑으로 내려와 있다.

 

(3) 이 그래프 처럼 그래프가 위로 올라가고, 아래로 내려온 것이 확실한 경우에는 기초 전략에서 설명하고 있는 방법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9.플레이어가 (8+8)을 가지고 스플릿을 하는 경우>

 

36a57622a9d79a46c3df4eb527bd9b81_1493883493_9738.gif
 

 

(1) 기초 전략에서는 모든 경우에 무조건 스플릿한다.

 

(2) (8+8) 은 무조건 스플릿 하라고 배웠는데 이제 그래프를 보면서 그 이유를 이해 할겁니다. 그래서 이 그래프로 공부하는 것이 이해하기에 좋다는 말입니다.

 

 

<20.플레이어가 (7+7)을 가지고 스플릿을 하는 경우>

 

36a57622a9d79a46c3df4eb527bd9b81_1493883500_9986.gif
 

 

(1) 기초 전략에서는 딜러의 카드가 2,3,4,5,6,7 일때에는 스플릿 하고 딜러의 카드가 8,9,10,A 이면 힛(Hit) (Hit) 한다.

 

 

<21.플레이어가 (6+6)을 가지고 스플릿을 하는 경우>

 

36a57622a9d79a46c3df4eb527bd9b81_1493883507_0554.gif
 

 

(1) 기초 전략에서 딜러의 카드가 2,3,4,5,6 일때에는 스플릿 하고딜러의 카드가 7 이상일 때에는 스플릿 하지 않고 힛(Hit) 한다. 

 

(2) 기초 전략에서 스플릿한 후에 더블다운 할수 없는 테이블이라면 딜러의 카드 2에 대해서 무리하게 스플릿 하지 않고 그냥 힛(Hit) 한다. 

 

(3) 이 그래프를 보고 배운 현명한 사람이라면, 딜러의 카드가 2일 때에는 스플릿 하지 않고 그냥 12로 계산하고 힛(Hit) 할 것이다.

 

 

<22.플레이어가 (4+4)을 가지고 스플릿을 하는 경우>

 

36a57622a9d79a46c3df4eb527bd9b81_1493883515_5987.gif
 

 

(1) 기초 전략에서는 딜러의 카드가 2,3,4 일때에는 힛(Hit) 하고 딜러의 카드가 5,6 에서는 스플릿(Split) 하고, 딜러의 카드가 7 이상이면 스플릿 하지 않고 힛(Hit) 하라고 했다. 

 

(2) 기초전략에서 스플릿한후에 더블다운 할수 없는 테이블이라면, 딜러의 모든 카드에 대해서 스플릿 하지 말고 그냥 힛(Hit) 하라고 한다.

 

(3) 이그래프를 통해서 배운 현명한 사람이라면, (4+4)는 절대 스플릿 하지 않고 8 로 계산하여 그냥 힛(Hit) 할 것이다.

 

 

<23.플레이어가 (3+3)을 가지고 스플릿을 하는 경우>

 

36a57622a9d79a46c3df4eb527bd9b81_1493883524_7032.gif
 

 

(1) 기초전략에서는 딜러의 카드가 2,3,4,5,6,7 일때에는 스플릿(Split) 하고 딜러의 카드가 8 이상에서는 힛(Hit) 하라고 한다. 

 

(2) 기초 전략에서 스플릿 한후에 더블다운을 할수 없는 테이블이라면  딜러의 카드가 2,3 일 경우에는 힛(Hit) 하고/ 딜러의 카드가 4,5,6,7 일 경우에는 스플릿(Split) 하고/ 딜러의 카드가 8 이상일 경우에는 힛(Hit) 한다.

 

(3) 이그래프에서 보듯이, 이그래프를 통해서 배운 현명한 사람이라면딜러의 카드가 2,3 일 때에는 스플릿 하지 말고 힛(Hit) 하는 것이 좋다.

 

 

<24.플레이어가 (2+2)을 가지고 스플릿을 하는 경우>

 

36a57622a9d79a46c3df4eb527bd9b81_1493883536_7394.gif
 

 

(1) 기초전략에서는 딜러의 카드가 2,3,4,5,6,7 일때에는 스플릿(Split) 하고  딜러의 카드가 8 이상에서는 힛(Hit) 하라고 한다. 

 

(2) 기초 전략에서 스플릿 한후에 더블다운을 할수 없는 테이블이라면 딜러의 카드가 2,3 일 경우에는 힛(Hit) 하고 /딜러의 카드가 4,5,6,7 일 경우에는 스플릿(Split) 하고 /딜러의 카드가 8 이상일 경우에는 힛(Hit) 한다.

 

(3) 이그래프에서 보듯이, 이그래프를 통해서 배운 현명한 사람이라면,     딜러의 카드가 2,3 일 때에는 스플릿 하지 말고 힛(Hit) 하는 것이 좋다.

 

 

<25.플레이어가 (A+A)를 가지고 스플릿을 하는 경우>

 

36a57622a9d79a46c3df4eb527bd9b81_1493883547_1696.gif
 

 

(1) 기초전략에서는 딜러의 어떤 카드에 대해서든지 무조건 스플릿 (Split) 한다.

 

(2) (A+A) 은 무조건 스플릿 하라고 배웠는데 이제 그래프를 보면 그 이유를 충분히 이해 할겁니다. 그래서 이 그래프를 통해서 모든 것을 확실하게 이해하면서 공부하는 것 좋다.

 

 

<26.플레이어가 인슈런스를 하는 경우>

 

(1) 기초전략에서는 딜러의 어떤 카드에 대해서든지 무조건 인슈런스는 하지 말라고 했다

 

<27.플레이어가 서렌더를 하는 경우>

 

 

(1) 기초 전략에서는 자신의 카드가 16 일 경우 딜러의 카드가 9,10,A 이면 서렌더를 하고자신의 카드가 15 일 경우에는 딜러의 카드가 10일 때에만 서렌더를 한다

0 Comments

 

놀자커뮤니티 공지사항
추천글
  • 글이 없습니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